정보
-
농촌소식 농어민 38만명 국민연금보험료 지원 이상 무! 담배 끊고 돈도 벌고 공익형 직불제 이슈정보 2020. 1. 16. 23:09
농어민 정보 마당 첫번째, 국회는 9일 본회의를 열어 국민연금 법개정안을 비롯한 민생법안 198건을 처리했습니다. 국민연금법이 개정됨에 따라 일몰제로 운용되는 농어민 국민연금보험료 지원사업이 기한이 2024년말까지 5년 연장 되었습니다. 이로써 농어민 38만명이 월평균 4만1484원을 계속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 국민연금 지역 임의 가입자인 농어민들이납입하는 보험 료를 최고 50%까지 지원했습니다.그러나 2019년 12월 31일로 끝난 사업시한을 연장하는 내용의 법안 처리가 미뤄지면서 당장 올1월분 보험료 수납부터 혼란이 우려됐었습니다. 올해 월 최대 30만원의 기초연금 지급 대상을 현행 소득하위 20%에서 40%로 늘리는 기초연금법 개정안도 처리됐습니다. 내년에는 무려 소득하..
-
귀농 영천으로 오세요 귀농귀촌 정보 지원사업정보 2020. 1. 15. 01:44
귀농 4년차 농부가 알려주는 영천시 귀농귀촌 정보 영천시인구 100,521명면적 919.39km2재정규모 5,92억원16년 귀농귀촌 가족수 632가구 누계 3619가구주요농특산물 포도 복숭아 자두행저구역 1읍 10면 5개동(402통,리)교육, 의료 인프라교육기관: 대학교1, 고등학교9, 중학교15, 초등학교19, 특수학교1의료기관: 종합병원1, 일반병원3, 치과16, 한의원32, 요양병원3 체류형 농업 창업지원센터2017년 완공80억원 사업비영천시 자양면 보현리 산194-1번지 일원47,555㎡체류형 주택 41세대, 공동실습농장,교육 시설등 귀농 귀촌 지원사업 귀농정착지원사업대상: 3세이하 귀농 3년이내사업비: 세대당 500만원사업량: 78호내용: 농기계 구입 및 농업시설 설치 등 농업창업지원사업(융자)..
-
농지에 도로명주소 받기 농막 컨테이너 하우스정보 2020. 1. 9. 01:07
농지를 구입했지만, 지번을 가지고 있을뿐 도로명 주소가 없으면 사업자등록이나 인터넷을 넣을때도 불편한점이 많습니다.이러한 농지에도 도로명 주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농지에 도로명주소를 받는 방법~ 시청에 건축지적과에서 신청을 하면 됩니다.단, 도로명주소를 받기위해서는 가설건축물이 있어야합니다. 일명 컨테이너, 농막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농막 등을 설치 후 가설건축물 축조 신고서 필증을 지참해 지자체 민원실에 도로명 주소 담당자(공간 정보, 도시과 등 지자체마다 부서명이 다릅니다.)를 찾아가서 신청하시면 약 3~5일 정도면 처리가 됩니다. 처리가 되면 민원실을 다시방문해서 명판제작인지대를 납부하면 도로명 주소 고지문과 제작된 명판을 수령해 농막에 부착하시면 됩니다. 도로명 주소 명판을 지참하거나 농막(..
-
귀농 이것은 꼭 알고 시작하세요. 귀농귀촌 정보 귀농 대출 자금정보 2020. 1. 8. 00:37
귀농 누구나 한번쯤은 꿈꿔보는 말년고즈녁한 농촌에서 보내는 여생 하지만 실제 귀농을 해보면 만만치않다. 귀농 4년차 농부가 귀농시 준비해야할 것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귀농을 할때 처음부터 농지를 사고 집을 짓고 농기계를 사고, 모든것을 준비해서 시작하려는 분들이 많습니다.농사는 시작 한다고해서 바로 돈이 되지 않습니다. 농사는 1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한 일입니다.내가 파종을 하고 곡식을 가꿔 수확을 해서 판매를 해야 내손에 돈이 들어오지,그전에는 돈이 들어가는일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농촌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2~3년은 버틸 여력이 있어야합니다.지금 여유자금이 있다고 해서 땅과, 집을 짓는데 다 써버리면 정작 농작물이 커가는 시기에 버틸 재간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농사라는것이 심는다고 다 잘되는게..
-
공익형 직불제란 소규모농가 면적, 논 밭 재배작물 구분없이 일정금액 지급정보 2020. 1. 8. 00:18
공익형 직불제란?농업인도 월급을 받는시대농촌에 종사하는 농업인이 국가 자연 생태보존, 경관조성, 공동체유지, 식품 안전 등 공익기능을 증진하도록 농업인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 공익형 직불제 도입 배경농산물 시장 개방 특히 주곡인 쌀 시장 개방 논의가 진행되던 정책 전환기에는 수입 피해에 대한 소득 보전이라는 직불제의 명분에 공감을 하나, 국내외 농업여건 변화에 따라 기존 직불제의 역활과 지속성의 한계가 노출.쌀 생산 중심의 직불제는 생산 과잉(과연 직불제 때문에 생산 과잉이 될까...수도작을 하기 위한 기본장비 콤바인 1억 트랙터 1억 장비값이 얼만데...여기에 이앙기 건조기 육묘장 곡물탱크 수리비 등등 따지면 어마어마한 돈이 투자된다.) 식량의 양적 확보보다는 자연 환경 보전, 식품안전성, 국토 ..